개발 못해요! 그냥 못해요

[리디자인] 벤치마킹 / SWOT 분석 본문

Study/Design

[리디자인] 벤치마킹 / SWOT 분석

this_is_mins 2023. 10. 30. 14:59

💡 벤치마킹이란 ?

정의 기준이 되는 대상을 설정하고 그 대상과 비교 분석을 통해 장점을 따라배우는 행위

 

현재 서비스의 문제점을 이해하고 차별화된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

벤치마킹을 통해 얻은 경쟁사가 가진 차별성을 무작정 따라하는 것이 아닌 ‘왜 이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잘 통한 걸까?’를 스스로 분석하면서 본인 서비스를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바로 벤치마킹의 핵심 목적

 


리디자인 서비스 : "따릉이"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1️⃣ 리디자인 서비스 분석하기 : SWOT 분석

🔥 강점

  • 유사한 다른 서비스에 비해 공공제로 가격이 저렴함
  • 퍼스널 모빌리티 서비스 중 2022년 6월 기준 가장 많은 점유율를 보유하고 있음

🥲 약점

  • 서울시 한정 서비스
  • 지정된 주차 구역에 주차해야함

✨ 기회

  • 타 서비스들이 
  • 서울시 한정 서비스인 점을 이용해 연계 서비스나 홍보가 가능함

⚠️ 위협

  • 전국을 타겟으로 한 서비스가 많음
  • 유사 서비스에서 점유율 1위지만 그 아래 순위의 서비스와 큰 차이가 나지는 않음

저는 "WO 전략: 약점을 보완하여 기회를 잡는 전략"을 이용하여 설계를 하려고 합니다

따릉이는 서울지역 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는 약점이 있지만 유사 서비스 내에서 점유율이 높기에 오히려 이를 이용해 서울시와 연계한 서비스를 추가할 계획입니다!

2️⃣ 벤치마킹을 진행할 경쟁사 선정하기

GCOO / everybike / 카카오바이크

지쿠의 경우 전기 자전거 서비스이고

카카오 바이크는 카카오 T서비스 내에 존재해 단독 서비스가 이니기 때문에

가장 유사한 everybike로 선정

 

3️⃣ 경쟁사 서비스 클론 디자인

 

 

Figma

Created with Figma

www.figma.com

4️⃣ 경쟁사에서 볼 수 있는 서비스 차별성 분석하기

전기 자전거 서비스에 비해 저렴하고 따릉이와 달리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이용가능함

 

UI/UX 관점에서 볼때는 메인 색상이 전체적으로 깔끔한 느낌을 주어서 자전거 대여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친환경적인 느낌을 준다. 또한 메인 화면에서 제일 핵심 기능인 이용하기 버튼이 제일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어 사용자가 쉽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총 이용 시간, 거리, 칼로리 등의 정보를 제공해 축적된 데이터를 보며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준다 

5️⃣ 리디자인 앱/웹 서비스의 목표 제시하기

따릉이를 편하게 "대여/반납" 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기

친환경적이고 깔끔한 이미지 강조

서울시와 연계 할 수 있는 아이디어 추가하기